본 웹사이트는 사용자에게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 정보는 브라우저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당사 웹사이트로 돌아올 때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가장 흥미롭고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웹사이트 섹션을 당사 팀이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Leadership
각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전문성과 통찰력, 윤리 의식을 갖춘 리더들이
노을의 원대한 미션과 도전적인 목표를 위해 조직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Leadership
-
임찬양 Chief Executive Officer 노을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로서 회사 경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인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있는 기업, 바이오 헬스케어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을 창업 이전에는 바이오 헬스케어분야 투자자로 활동했으며, 의료기기 기업에서 연구개발을 총괄 했습니다. 창업초기부터 노을의 혁신기술개발을 이끌고 있는 엔지니어링 리더로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했습니다.
-
김경환 Chief Legal Officer 노을의 창업멤버이자 CLO (Chief Legal Officer)로서 회사의 법률문제와 특허, 그리고 컴플라이언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의미있는 일을 하고자 노을에 합류했습니다. 이전에는 LG전자 미래IT융합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KT에서는 지식재산법무팀 변호사를 역임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제주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했습니다.
-
안정권 Chief Sustainability Officer 지속가능성 책임자(Chief Sustainable Officer)로서 회사의 지속가능성 및 소셜임팩트 전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노을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회사로 성장시키기 위해 창업 초기부터 함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CSO 역할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속가능성 분야 전문가 입니다. 노을 합류 이전에는 포스코경영연구소, BSI, 슬로워크 등에서 근무했습니다.
-
김태환 Chief Business Officer / Managing Director of noul GmbH 노을의 CBO (Chief Business Officer) 및 유럽 법인장으로서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공공사업 분야 및 노을 제품의 글로벌 진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제보건 분야에서 노을의 기여가능성과 구성원들의 도덕성, 탁월함에 깊이 공감하여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크레디트 스위스 등 글로벌 투자은행에서 임원을 역임했으며, 같은 대학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석·박사 학위를 받은 후 세계보건기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등 국제기구에서 보건의료 컨설팅 및 투자 프로젝트를 집행한 국제금융 및 국제보건 전문가입니다.
-
이만기 Chief Financial Officer 노을에서 CFO (Chief Financial Officer) 및 재무회계 부서 리더로서 노을의 재무기획, 자금운영, 회계 및 내부통제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노을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비전과 열정에 깊이 공감하여 합류하게 되었으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재무적 측면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노을에 합류하기 전에는 한국수출입은행에서 해외인프라 사업 금융지원, 국제개발협력 사업개발 및 대외경제협력기금 관리 등을 담당하였고, 그 이전에는 공인회계사로서 삼일회계법인에서 회계감사, 재무자문 업무 등을 수행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그리고 듀크대학교에서 국제개발정책학으로 석사를 받았습니다.
-
김용준 Chief Development Officer 노을의 CDO (Chief Development Officer) 로서 miLab platform의 HW, SW, AI, 기구, 회로, 광학, 펌웨어를 포함한 개발 부문을 이끌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경영 철학에 공감해 합류했으며, 혁신적인 기술로서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 이전에는 씨트론(주), Honeywell에서 제품 개발을 이끌었고, 서울대학교 농공학과(기계전공)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송재원 Head of SW Circle 20년 경력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노을에서 SW Circle의 리더이자 SW 개발 Expert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경영 철학에 반해 합류했으며 광고, 검색, 클라우드, 빅데이터, 디자인 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했던 경력을 살려 노을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KAIST 전산과(학사), 소프트웨어전문가과정(석사)을 졸업했습니다.
-
박정규 Head of System Circle System Circle 리더로서 miLab 디바이스의 기구 설계, 전장 시스템, 펌웨어, 소프트웨어, 카트리지 개발까지 전반적인 제품 개발과 양산 품질 개선 업무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 전 신도리코에서 20년 이상 제품 설계와 개발 프로세스 효율화 분야의 전문성을 쌓았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을에서 높은 품질의 혁신적인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며 고객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경북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
송영훈 Head of Prep Circle 바이오 엔지니어로서 세상에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기술을 실현하고자 노을에 합류하였습니다. 현재 카트리지 프렙 개발팀 리더를 맡고 있으며, 카트리지 기반 샘플 preparation을 자동화하여 열악한 환경에서의 의료접근성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
조봉준 Head of AI Circle 노을의 AI Circle 리더로서 AI 기반 디지털 영상 분석 기술의 연구와 개발을 이끌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경영 철학을 함께 실천하고자 합류했으며, 세상에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의료영상 기반 AI 솔루션의 FDA 510(k) 인허가 경험을 바탕으로, 규제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 이전에는 Elekta, Medivis, JLK 등 헬스케어 기업에서 소프트웨어 및 AI 개발을 주도했으며,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정현근 Head of Sales & CS Circle 노을의 Sales & CS Circle 리더로서 전세계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노을 제품의 글로벌 진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경영 철학에 매료되어 합류하게 되었으며 노을 합류 전에는 삼성전자, HP, 바이오니아에서 영업/마케팅 총괄로서 글로벌 GTM전략을 수행했습니다. 연세대학교에서 건축공학과를 전공했고, 콜로라도 주립대에서 컴퓨터공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
김유진 Head of Market & Product Strategy Circle 노을의 Market & Product strategy Circle 리더로서 miLab의 글로벌 진출을 가속하기 위해 시장 및 제품 전략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탈중앙화 진단 플랫폼이라는 노을의 혁신적인 제품 컨셉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경영 철학에 끌려 합류했으며, 이전에는 롯데면세점, LG유플러스, Wavve/Tving 등의 기업에서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 영업전략, 사업 기획 업무를 경험했습니다.
-
최준석 Head of Clinical Strategy & Development Circle 노을의 임상 전략 개발을 총괄하며, 진단 솔루션에 대한 임상시험의 인허가 전략, 실사용 근거(RWE) 창출을 이끌고 있습니다. 자신의 전문성과 경험을 노을의 기술과 접목해, 글로벌 보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자 노을에 합류하였습니다. 제약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20년 가까이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임상 운영, 규제 전략, 의료 학술 전반에 걸친 폭넓은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노을에 합류하기 전에는 루닛에서 의료 학술 부서의 VP로 재직하며, AI 기반 진단 기술의 FDA 인허가를 다수 이끌어낸 바 있습니다. 종양학 및 디지털 진단 기기에 특히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FDA), 유럽(EU), 일본(PMDA), 한국(MFDS)의 규제 체계에 대한 실무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했으며,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
황선민 Head of Quality Mgt. Circle 노을의 QM Circle 리더로서 노을의 개발품질, 양산품질 및 품질시스템을 포함한 노을의 품질부문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을 함께 이뤄내기 위해 합류하게 되었으며,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준수하여 제품과 서비스에서 최고의 품질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이전에는 스마트폰제조업체 팬택에서 개발품질검증을 담당했으며 메디트에서 치과용 의료기기의 양산품질부문을 이끌며 양산품질을 셋업했고 카카오계열사에서 SW품질부문을 이끌었습니다.
-
장욱상 Head of Production Circle 노을의 Production Circle 리더로서 제품의 생산과 제조기술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경영철학을 함께 실천하고자 합류하게 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품질 확보를 기반으로한 생산성 향상, 제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 이전에는 IT, 전자 제조업에서 생산기술, 제조기술 부서장 역할을 수행하였고 다년 간의 주재원 경험이 있습니다.
-
신경희 Head of General Mgt. Circle 노을에서 인사/GA/EHS 부서의 리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늘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일에 관심이 많았으며, 세상을 바꾸는 일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꿈꾸며 수년간 INGO에서 일했습니다. 비영리 조직이 아닌 비즈니스 영역에서도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노을과 같은 기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노을의 도전적인 여정에 함께 하고자 합류했습니다.
-
조신형 Malaria Expert 조신형 박사는 박사과정 중 수의학의 주춧돌 (cornerstone)인 수의 기생충학(veterinary parasitology)을 전공하면서 기초학문과 임상과목 간의 교량역할을 하는 분야에서 연구했습니다. 1997년 질병관리본부(구 국립보건원) 바이러스질환부 기생충과에 입사하여 보건연구사, 보건연구관 및 과장까지 근무하면서 다음과 같은 업무를 중점적으로 수행했습니다. 말라리아 제어 연구단장을 역임하면서 말라리아 Dual vaccine 시스템 개발, 천연약초 말라리아 치료제 개발, 말라리아 퇴치모형 감시체계 개발 수행하였고, 2010년부터 SCI 국제저널 연구논문을 발표해왔고, 기생충진단법을 개선하는 3건의 특허등록 등 다양한 실험적 수단을 통해 과학적으로 해석하여 기생충 퇴치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왔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말라리아 방역과 감시체계의 산증인으로서 큰 공헌을 이루어 왔습니다.
-
김미진 Bioengineering Expert 노을의 바이오메디컬연구부서 Bioengineering Expert로서 Principle Research Scientist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노을이 추구하는 가치로운 일에 매료되어 합류하게 되었으며 뜻을 함께하는 동료들과 도전적 문제들을 해결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을에 합류하기 전에는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에서 포스트닥 훈련을 받았고 이후 시카고대학교, 차의과대학, 아이진(주)에서 근무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유전공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
신영민 AI Expert 노을의 창업멤버이자 Future Research 부서에서 AI Expert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의미있게 사용하고 싶은 기대를 갖고 노을의 Co-Founder로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노을에 합류 전에는 현대중공업 및 삼성SDS 에서 근무했으며,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에서 컴퓨터 비전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
이홍종 HW/FW Development Expert 노을에서 HW/FW 개발 Expert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경영철학에 반해 합류했으며 20년 이상 디지털 영상처리 관련 제품을 개발하면서 얻은 Hardware, Firmware, FPGA, MFC 등의 개발 지식을 기반으로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혁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기여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 이전에는 하이트론씨스템즈 에서 근무 하였고, 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사)를 졸업 했습니다.
-
정창원 QC Expert 노을 QM 부서에서 QC Expert 로 역할을 수행하고있습니다. 노을의 미션과 miLab 제품에 매료되어 합류하게 되었으며 그동안 IT 산업에서 경험해왔던 양산 품질관리 장점을 의료기기 품질관리에 접목하여 양질의 제품을 생산 출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노을 합류 전에는 삼성전자(주), 삼성전기(주)에서 품질담당 및 주재원 역할을 수행했으며 옵티스(주)에서 품질부서장 및 해외주재원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
정세빈 IR Expert 노을의 IR/PR부서에서 노을의 기업 가치 극대화를 목표로 IR Expert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AI와 바이오 기술을 통해서 인류 난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노을의 도전적인 미션에 관심을 갖고 합류하게 되었으며, 노을이 탁월한 기술력과 제품을 바탕으로 도전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미션 달성을 통해 Global No.1 AI 의료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IR 측면에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노을에 합류하기 전에는 코어라인소프트를 포함해 코스닥 IPO를 3회 성공적으로 달성하였으며 제약, 바이오, 반도체 등 상장사에서 경영 기획과 IR을 담당하며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해서 노력해왔습니다. 중앙대학교에서 경제학과 회계학을 전공했습니다.
-
남상수 IT/Security Expert 노을에서 IT, Security Expert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영리 기업에서도 노을과 같이 비영리 못지않은 미션과 철학을 가진 곳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노을의 미션에 함께하고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고자 수년간 INGO에서 일했습니다.
Advisors
- Scientific Advisors
-
Hans-Peter Beck Ph.D. University of Basel, Swiss TPH "스위스 바젤 대학의 분자 기생충학 명예 교수로 바젤의 스위스 열대공중보건 연구소(Tropical and Public Health Institute)에서 25년간 근무했습니다. 현재는 바젤 대학교 혁신연구소에서 과학 부문의 자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말라리아와 같은 열대성 질병의 분자 분석 전문가로서, 말라리아 기생충인 Plasmodium falciparum 의 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말라리아 치료제의 임상시험에서 분자 유전자형(genotyping) 기법을 확립해 말라리아 진단 및 치료에 기여했습니다. 독일 튀빙겐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스위스 TPH 이전에는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와 글래스고 대학교, 호주 멜버른의 월터, 엘리자 홀 연구소(Walter and Eliza Hall Institute), 파푸아뉴기니 의학연구소(Papua New Guinea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와 티텐 헤르데케 대학에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직을 역임했습니다."
-
Hidde Ploegh Ph.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Children's Hospital "보스턴 아동병원(하버드 의과대학) 교수로 세포 및 분자의학 분야 프로그램의 연구 책임자 입니다. 면역학자이면서 동시에 생화학자, 생명공학자인 플루흐 박사는 단백질 공학에 사용되며 정량적 라벨링 및 치료 목적의 단백질 수정 등 넓은 응용범위를 가진 “sortagging method” 개발의 선구자 입니다. 플루흐 박사는 특정 바이러스가 어떻게 인체 내 면역체계의 탐지를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바이러스에 대한 학계의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특히, 미세각인법을 개선하여 고투과 단일 세포검사 및 나노항체 적용에 기여했습니다. 플루흐 교수는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 Whitehead 연구소와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진으로 역임했으며, 하버드 의과대학에서는 면역학 대학원 프로그램을 맡은 바 있습니다. EMBO(1986년~), 네덜란드 왕립예술과학원(1997년~), 미국 예술과학원의 회원(2000년~) 및 미국 국립과학원 소속 회원(2016년~)입니다."
-
우종혜 Ph.D. Harvard Medical School,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하버드 의과대학 및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방사선과 부교수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전자공학 학사, 이후 미국 Univeri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USC Viterbi School of Engineering Best Dissertation Award, NIH/NIDCD K99/R00 Pathway to Independence Award, Distinguished Investigator Award from the Academy of Radiology and Biomedical Imaging Research을 수상한 바 있는 톱 클래스 연구자이며 다양한 의료임상 적용을 위한 의료 영상 분석 및 기계/딥러닝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남기태 Ph.D. 서울대학교 나노시스템공학 연구소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MIT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과정을 거쳤습니다. 효소 모방 물질을 만들기 위해 생물계와 나노물질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새로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남기태 교수팀은 펩타이드 내 바이오 센서와 전기화학 장치를 통해 나노재료의 원자 형태학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정규환 Ph.D.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입니다. 2015년 딥러닝 기반 의료 데이터 분석 기업 ‘뷰노’를 공동 창업하고 CTO를 역임하면서 뷰노의 연구개발을 총괄했습니다. 포항공대에서 산업경영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SK텔레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등에서 빅데이터 및 AI 관련 연구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현재 의료 인공지능 분야에서 국내 최고 전문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힙니다.